의료 서비스는 빅데이터를 적용한 서비스 중 가장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서비스 중 하나다. 효과를 나타내는 가장 큰 이유는 의료 데이터는 표준화되어 있고 병원에서만 활용하기 때문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데이터 표준화는 빅데이터의 성공 요소 중 하나다. 빅데이터를 위해서는 다양한 루트로 정보가 수집되어야 하는데 데이터 수집이나 저장 형태가 다를 경우 데이터를 하나의 집합으로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또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이 최근 출시되고 있지만 비 표준 방식이라 호환성이 부족해 확대되지 않고 있는데 애플의 헬스킷(HealthKit), 구글의 구글핏(Google Fit), 삼성의 사미(SAMI) 등이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각각의 디바이스를 통해 헬스 데이터가 수집되지만 비 표준 방식이라 타 플랫폼과 호환성은 없다는 것이 공통된 단점이다. 정부에서는 비 표준 방식의 부족함을 개선하기 위해 국제표준 방식의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을 구축 중이다. 군 건강관리, 피트니스, 스마트화장실 등의 서비스에서 헬스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그림5).헬스케어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플랫폼을 직접 사용하지 않는 외부 헬스케어 서비스와도 연동될 수 있도록 데이터 표준화 제공하고 있다.
<그림5> 헬스케어 플랫폼의 예
출처: 건강보험심사원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헬스케어의 성공은 빅데이터 적용의 성공이라고 봐야 한다. 그만큼 헬스케어에게 의료, 건강 데이터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IDC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의 성공을 위해 체크해 볼 사항을 가이드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헬스케어 서비스와 관련된 것만 추려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