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위험원 분석에서 도출된 대표 위험원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구체적인 시스템 사양을 바탕으로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절차가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이다.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은 인적 요소를 포함한 전체 위험원의 위험성 평가를 위해 분석의 범위를 시스템, 인터페이스, 운영시나리오로 나누어 수행한다.
시스템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은 순수하게 시스템의 고장 중 정의된 사고의 원이 되는 요인을 분석하며, 인터페이스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은 기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대상으로 개발 시스템의 입력 및 최종 출력에서 나타난 고장 중 정의된 사고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운용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원을 도출하고 분석한다.
따라서 시스템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의 결과는 인터페이스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되며, 대부분이 HW 고장을 고려하게 된다. 운영시나리오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은 시스템 SW 와 매우 밀접하게 관계를 갖는다.
위험원 누락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되며, 이러한 체계적 분석을 위한 대표적 방법론에는 FMEA 와 HAZOP Study 가 있다. FMEA 와 HAZOP Study 는 모두 고장발생 기준에 대한 결과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경우에 따라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론이다.
다만, 사용되는 고장 발생 기준이 FMEA 의 경우 고장모드(Failure Mode)를 사용하고, HAZOP Study 의 경우 지시어(Guide Word)를 사용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고장모드는 경험에 의해 추정할 수 있는 고장의 상태를 정의하고, 각각의 고장모드를 기준으로 분석 대상의 고장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지시어는 모든 제어 출력의 고장형태를 분류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위험원목록(Hazard Log)은 안전성활동의 입증자료 문서화 단계로써 시스템, 인터페이스, 운영시나리오로 나누어 수행된 위험원 도출 및 분석의 결과들을 종합하는 단계이다. 위험원목록의 작성을 통해 시스템, 인터페이스, 운영시나리오별 위험원 중 공통된 사항의 중복을 처리하고 인적오류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위험원별 위험성을 평가하여 안전 확보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안전의 확보를 목적으로 위험원별 위험성완화를 위해 사용된 안전대책들이 설계의 경우 해당 도면, 교육/훈련의 경우 교육/훈련 매뉴얼 및 수료증, 운영규정의 경우 해당규정에 대한 문서번호를 첨부해야 한다.
시스템의 도입이 완료된 후에도 위험원목록은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해당 시스템이 개량되면 개량된 사항이 기존에 확보된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위험원목록에서 개량과 관련된 부분을 다시 분석하고 평가하여 안전성의 유지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또한 신규시스템의 도입 시에도 신규시스템과 인터페이스 되는 기존 시스템들의 위험원목록을 입수하여 신규시스템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관련 영향이 평가되고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위험원목록의 해당부분이 갱신되어야 한다. 시스템별로 위험원목록이 구축되면 신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시 기존 시스템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결과분석은 모든 가능한 시나리오 및 위험원과 관련된 위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위험원으로 인한 결과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정량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예비 위험원 분석과는 반대로 낮은 레벨의 위험원으로부터 높은 레벨의 위험원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즉 상향식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는 최악의 경우에 대하여 결과를 도출하여야 한다.
위험원으로 인한 사고의 결과는 심각도 항목으로 정량적으로 할당하여야 한다. 위험성은 위험원에 의해 잠재적으로 촉발되는 사고의 발생가능성과 심각도를 추정하여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결과 분석에는 위험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및 환경을 고려하기 위하여 시스템 및 운영 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술적인 방호벽 등 위험원이 사고로 진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위험성 저감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결과에 대한 심각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어떤 위험원은 사고상황이 다양하고, 사고의 심각도 또한 다양하므로, 제어시스템의 안전성 분석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근사화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란 발생 가능한 최악의 결과를 특정 위험원과 관련시키는 것이다.
댓글 없음 :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