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0일 월요일

SW공학 Technical 세미나 - 클라우드 상에서의 성능 모니터링, 그리고 쉽게 만날 수 있는 장애 극복기 공유


안전 무결성 수준(Safety Integrity Level)

표준에서 안전 무결성(Safety Integrity)은 안전관련 시스템이 일정기간 내에 모든 일정 조건에서 요구되는 안전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확률로 정의하고 있다. 안전 무결성 수준은 안전성과 관련된 기능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안전 기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안전기능을 추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후 안전기능의 달성 가능한 정도를 안전 무결성 수준(Safety Integrity Level, SIL)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안전성 관련 기능을 구성하는 하위 기능별로 가장 낮은 수준의 Level 0부터 가장 높은 수준의 Level 4까지 할당 될 수 있다. 안전 무결성 할당의 개념은 아래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안전 무결성 할당의 개념

또한, 상기의 안전 무결성 할당의 개념과 동시에 각 안전 무결성 수준에 따른 정 량적 요구수준으로서 위험 고장 발생빈도(PFH)를 [표 26]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표 1. 안전 무결성 수준(SIL)과 위험 고장 발생빈도(PFH)

[그림 1], [표 1]와 같이 안전 무결성 수준은 안전성 관련 시스템에 대한 위험도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초기 평가된 위험도를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저감시키기 위 해 요구되는 시스템 또는 기능에 대한 무결성 수준에 따라 할당되어야 한다.



안전성 활동에서의 위험원 역할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위험원이 제거 또는 완화되어야 한다. 따라 서 위험원 확인 및 도출은 시스템 안전성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위험원 분석은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하며, 안전성 활동의 첫번째 단계인 위험원 분석을 위한 기술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

위험도 분석은 시스템의 위험도를 추정하고, 도출된 위험원을 제거하거나 완화시 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험원을 확인 및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려면 위험원의 본질, 위험원과 사고와의 관계, 그리고 시스템 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로 한다.


그림 1. 철도 시스템의 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고려해야할 환경요소

그림 2는 안전성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위험원 분석 간의 절차 그리고 입·출력 산출물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개별 위험 원 분석 기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작 조건, 입력물, 그리고 개별 기법의 수행을 마치고 완료시점을 명시하였다.



그림 2. 안전관리와 위험도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