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8일 금요일

품질비용과 비용성과


품질비용을 비용 성과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면, 비용을 준수한 프로젝트에서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이 전체 개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5.2%, 10.6%, 23.5%, 17.3% 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품질비용은 전체 개발비 대비 56.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납기를 미준수한 프로젝트에서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실패 비용, 외부실패비용이 전체 개 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9%, 9.0%, 24.5%, 16.8%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품질비용은 전체 개발비 대비 54.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을 준수한 프로젝트는 비용을 미준수한 프로젝트에 비해 예방비용과 평가비용이 차지하는 비율 이 높았으며, 내부 실패비용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품질비용


SW공학백서의 품질비용 항목은 크게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으로 구분되며, 각 품질비용 별 수집된 투입공수(MM)를 전체 프로젝트 투입공수(MM,실적기준)로 나눈 값을 활용하여 SW품질비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SW개발 프로젝트의 품질비용 항목은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과 같 이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품질비용 항목에 대한 측정 데이터는 전년도 기준과 동일하며, 다음의 표와 같이 정의된다. 

 
올해 수집된 품질비용 데이터는 조사 대상 프로젝트 452개 중 96개만 수집되어 응답율이 21.2%로 매우 저조하였다. 이는 SW개발 프로젝트 수행 시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활동과 그 데이터를 체계적 으로 분석 활용하는 활동이 국내 전반적으로 미흡한 상황이거나 정량적 측정체계가 갖추어졌더라도 품질과 관련된 데이터 공개를 꺼려하는 상황이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내 전체 프로젝트의 총 품질비용은 55.8%로 작년 58.6%와 비교하여 감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연도별로 살펴보았을 때 품질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내외부 실패비용의 경우 다른 품질비용에 비해 그 감소 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어 품질비용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영결함밀도와 성과 간 분석


SW프로젝트의 납기성과에 따른 운영결함밀도를 분석하면 아래의 표와 같으며, 납기를 준수한 그룹 의 운영결함밀도는 0.132(개/FP)로 납기를 미준수한 그룹의 0.171(개/FP)와 비교했을 때 매우 낮 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납기를 준수한 조직은 앞서 납기성과와 SW공학수준과의 분석 결과에서처럼 상대적으로 SW공학수준이 높기 때문에 납기 미준수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영결함밀도가 낮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용성과와 운영결함밀도를 비교한 결과 납기와 마찬가지로 비용을 준수한 그룹의 운영결함밀 도가 비용을 미준수한 그룹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성과도 납기성과와 마찬가지로 비 용을 준수한 그룹의 경우 앞서 비용성과와 SW공학수준을 분석한 결과에서처럼 SW공학수준이 비 용을 미준수한 그룹에 비해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2016년 7월 7일 목요일

운영결함밀도와 SW공학수준 간 분석


SW공학등급(Absent, Average, Advanced)과 납기성과간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W공학수준 등급이 높을수록(Advanced) 운영결함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공학수준 등급이 낮을수록(Absent) 운영결함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W공학수준이 운영결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운영결함밀도의 개선을 위하여 SW공학수준의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W공학수준을 결정하는 하위 구성요소(프로세스, 인력, 기술)의 등급에 따라 운영결함밀도의 추세를 살펴보도록 한다. 

SW공학수준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수준등급에 따른 운영결함밀도는 다음의 표와 같으며, 프로세 스 수준등급이 높아질수록 운영결함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dvanced 등급이 되어서 야 전체 평균인 0.136(개/FP)보다 낮은 운영결함밀도 수준을 나타내고 있어 국내 SW기업들이 프 로세스 수준 개선에 상대적으로 많은 노력을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운영 결함밀도


운영결함밀도란 SW개발 이후 운영단계로 이관한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테스트 결함밀도를 말하며 이를 통해 실제 고객에게 인도된 시스템의 품질성과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수집된 452개의 데이터 중 운영결함밀도 관련 항목에 응답한 설문은 33개 프로 젝트로 응답율이 7.30%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낮은 응답율은 국내 SW기업 대부분이 아직까지 결함데이터의 정량적 관리가 미흡한 상황이거나 데이터가 수집되어도 공개를 꺼려하는 상황이기 때 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부족하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국내 SW기업의 운영 결함밀도는 전체 평균 0.136(개/FP)으로 전년도(2013년도)결과인 0.144(개/FP)와 비교해 5.56% 감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도별 운영결함밀도는 다음의 표와 같으며, 금년도(2014년도)의 경우 전년도(2013년도)와 비교하 여 매년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프로젝트 비용


비용성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에서 비용을 준수한 프로젝트 비율의 추이를 비교하는 것 으로 국내 SW개발 프로젝트의 비용성과 현황을 분석했다. 프로젝트의 성과항목 중 비용 측면의 지표로는 비용초과율을 선정하였으며, 비용초과율은 고객과 계약한 프로젝트의 전체 투입인력과 비 교하여 실제 프로젝트 투입인력이 증가 혹은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비용 초과율이 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프로젝트 계약 투입공수보다 적은 인력을 투입하여 프로젝트를 완료했음을 나타내며, 0%보다 클 경우에는 계약 투입공수보다 더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프로젝트 를 완료했음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의 비용성과에 대한 응답율은 22.6%로 응답율이 낮은 편이며, 비용을 준수한 비율은 50.98%로 나타나고 있다. 

2016년 7월 6일 수요일

납기성과별 분포

기업규모(대기업, 중소기업)별로 납기성과를 비교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납기준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W개발 유형(IT서비스, 임베디드SW, 패키지SW)별로 납기성과를 비교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SW개발유형에 따라 납기성과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계약형태(단독, 컨소시엄, 하도급)별로 납기성과를 비교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으며, 프로 젝트 계약형태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