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15일 화요일

UX 사례 연구 - 스토리텔링


인문학 감성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소프트웨어 개발에서도 애자일이 도입되면서 사용자 스토리 (User Story)를 정확히 만들기 위한 노력이 높아지고 있고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더 알아보기 쉽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기법도 동원되고 있다이번 회에서는 UX의 한 기법인 사용자 스토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기술적 성향이 매우 높은 개발자들이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사용자 스토리를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사례 연구 전 확인 사항

사용자 스토리 (User Story)의 정의
지금까지도 사용자 (고객 )의 요구사항을 정리할 때 사용자보다는 개발자 입장에서 작성하게 된다그림 1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리한 문서이다개발 프로젝트의 개발자는 사용자와 회의를 하면서 정리하고입출력 데이터 등을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을 받는다.


<그림 1> 요구사항정의서의 예
출처 : http://fixframe.tistory.com/category/웹기획 /분석


그림 1을 가지고 사용자에게 확인을 받으면 사용자는 자신의 요구사항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알기가 어렵다더구나사용자는 자신들의 업무나 하는 일에 대해 개발자가 제대로 이해했는지도 알 수가 없다. SI(System Integration) 프로젝트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중 하나가 프로젝트가 다 끝나가는데 요구사항이 변경되는 것이다추가적인 요구사항이라면 협상의 여지가 있지만요구사항을 잘 못 이해하고 만든 것이라면 분석설계부터 개발까지 회귀 결함을 포함해서 재개발해야 하는 문제도 생긴다지금까지 개발자들이 가장 놓쳤던 부분이 사용자는 시스템이나 개발 프로세스를 잘 모른다는 것이고반대로 개발자들은 사용자가 하는 일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이와 같이개발 프로젝트 초기에는 과도한 요구사항 수집과 문서화는 프로젝트를 망칠 수 있는 요인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사용자가 하는 일을 사용자나 개발자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토리 형태로 정리하는 것이 사용자 스토리이다애자일에서 사용자 스토리는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이나 요구사항을 의미하고한 두 문장으로 짧게 표현하고명세보다는 의사소통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고 하고 있다.


Agile을 적용한 ALM 사례 - A사

Why? Problems

Strong needs of development & collaboration environment suitable for smart products
•Increase of software size (10 times bigger in every six year※)
•Increase of large scale projects with hundred of developers

Exposure of communication and productivity issues in the harsh development environment
•Global development with overseas R&D Lab.
•Collaboration with not only software teams but also non-software organizations

Lake of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for development & collaboration environment
•Lake of investment and support for software engineering tools
•No proper organization (role) to lead software engineering tools


Why? Considerations

Main Questions :
•Who are the main users?
•What services are needed?
•What solution is the best?

Main Scope :
•Tracker (JIRA): Req. Management, Change Request, WBS, Bug Tracking
•Collaboration (Confluence): Documentation,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Repos (Git/SVN): Version Control, Code Review, Code Browsing


What? “Collaboration Center”




출처: “Embedded Software – Enabling Technology for Ubiquitous Computing”, IBM


4th Industrial Revolution / Industrie 4.0

Industrial Revolutions




4th Industrial Revolution / Industrie 4.0





Robots - Industrial Level Disruption

•China/Foxconn
–2012 Plan: 1 Million robots over the next 3 years
–2016 Reality: Probably closer to 100,000
–May 2016: One Foxconn factory has reduced employee strength from 110,000 to 50,000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robots

•Automotive industry is the biggest market (43%, 2014)

•Korea
–the 4th largest robot market, increased by 16% to about 24,700 units in 2014
–#1 robot density in non-automotive industries with 365 robots installed per 10,000 employees in 2014 (1,129 in automotive)

•Between 2015 and 2018, it is estimated that about 1.3 million new industrial robots will be installed in factories around the world




2016년 11월 14일 월요일

제 69회 SW공학 Technical 세미나 안내

제 69회 SW공학 Technical 세미나 안내(11/24(목))



SP 인증을 중심으로 한 SW프로세스 교육 안내

SP 인증을 중심으로 한 SW프로세스 교육 안내 (12/1(목)~12/2(금), 가산)






사용자 스토리와 UX의 관계

사용자 스토리는 UX 전략 (그림 5)에서도 나타난다요구사항 (Issue)을 리서치 하여 사용자 스토리를 완성한다이렇게 작성된 사용자 스토리를 종합하여 UX Value를 수립하여 UX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그림 5> UX 전략 수립
출처 : SYS4U


사용자 스토리는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여 최종 산출물로 나타내는 자료이다완성된 사용자 스토리는 사용자나 개발자가 이해하기 어렵다면 잘 못 작성된 것이다따라서사용자 스토리는 단순해야 하고구체적으로 내용을 작성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이 이어지도록 작성하여 가장 중요한 일 (기능 )이 나타날 수 있어야 한다사용자나 개발자가 동시에 이해가 되는 사용자 스토리는 대화를 이끌어내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2016년 11월 11일 금요일

음성인식 기술과 반응형 기술

음성인식 기술 

음성은 사람이 공간, 시간, 문제 해결 등에 집중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지능형 영역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중 한 분야로 손꼽히고 있다. Amazon Echo, Google Home, SKT NUGU와 같은 스마트 스피커가 앞다퉈 출시하면서 가정 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인공지능 비서로도 음성 인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림5는 음성 인식을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5> 음성 인식 기술 
출처: LG CNS 


구글의 ‘Cloud Speech API’ 


구글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중 하나로 음성 인식을 위한 Cloud Speech API를 제공한다. Google Now와 Google 검색에도 적용되어 있고, 한국어를 포함한 8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한다. Google Cloud로 파일을 업로드하여 REST 또는 gRPC 요청이 가능한 여러 디바이스에서 Google Cloud Speech API를 사용하여 개발이 가능하다(그림6). 이러한 API 제공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구글의 방대한 자료로 인해 음성 인식의 정확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그림6> 구글의 ‘Cloud Speech API’

출처: 구글 

Naver ‘음성 인식’, ‘음성 합성'


Naver 음성 인식은 소켓 통신을 통한 스트리밍 형태로 서버에 전달하여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API이다. REST API는 제공하지 않고, 자체 프로토콜을 구현한 SDK를 제공하고 있고, 현재는 Android 버전만 제공되고 있으며, 추후 iOS용 SDK도 제공될 예정이다. 음성 합성은 4개 언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에 대한 성우 목소리로 음성을 합성해주는 REST API를 제공한다. 


<참고사이트> 
Naver 음성인식과 음성 합성 개발자 사이트 
https://developers.naver.com/docs/labs/vrecog
https://developers.naver.com/docs/labs/tts 


반응형 기술 


지금까지도 사람이 직접 사물을 모니터링 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직접 대응하고 있다. 이렇게 사람이 직접 대응하는 방식은 수집되는 정보의 양에 따라 중요한 정보를 놓지는 경우도 있고 대응에 늦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반응형 인공지능은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LG CNS의 ‘산업 안전 서비스 모델’ 


2016 Innovation Summit에서 공개한 전 세계 12개국 2,500명의 비즈니스 리더 대상으로 진행한 IoT 2020 비즈니스 리포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사물 인터넷이 조직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비즈니스에 도움이 된다”라고 응답했다. Factory, 물류 분야는 생산성 향상, 안전성 증대, 에너지 절감 등과 연관된다. 
LG CNS에서 구축한 '산업 안전 서비스 모델'은 안전 장비에 사물 인터넷 센서를 부착한 후 미착용 작업자의 접근을 통제하고, 위험지역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를 통해 공정의 모터 컨트롤러 등에서 문제 발생 시, 오류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생산 공정을 재구성 할 수도 있다.

<그림7> 산업 안전 서비스 모델의 예 



출처: LG CNS


무인 자동차 분야(구글, 현대) 


센서, 네트워크, GPS 등을 이용하여 자동차 스스로 실시간 교통상황과 지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메틱스(Telematics)라 하는데, 텔레메틱스와 함께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기반의 무인 자동차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부터 자율 주행까지 포함하는 의미인데 현재는 스마트폰에 연계되어 정보를 주고받지만 다른 차량과의 정보교환이나 센서 등을 통해 교통 상태를 인식하고 주행하는 자율 주행이 최종 모습이다. 이러한 정보 수집을 통해, 자동차는 교통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는 자율 주행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자율주행자동차는 머신 러닝의 좀 더 가까운 예시로, 데이터를 수집해 진화하기보다는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에 더 특화돼 있다. 항상 GPS와 위성통신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와 교통상황 및 주행상황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분석해야 한다.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탑승자를 도착시키는 것이 이 자동차의 목적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탑승자가 집과 직장을 왕복하는 경우 해당 목적지까지 더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경로를 찾거나, 앞선 차량의 속도가 느릴 때 차선을 바꿔 주행속도를 높이는 등의 선택적 연산까지 가능해진다.  


<참고사이트>



시사점 


지능형 기기는 인공지능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대용량의 수집 데이터가 필요하다. 구글이나 애플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뿐만 아니라 SK나 삼성 등의 국내 기업들도 음성 인식을 통한 정보 수집을 시작하였다. 음성 인식은 짧게는 사람의 말을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는 기술이지만, 길게 보면 사람에게 직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창구이기도 하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 수집은 사람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분석되는 시발점이 될 것이고, 분석된 데이터는 인공지능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